은 투자 방법, 다가오는 금융위기 준비하기(포트폴리오 / 금은비 확인)

Posted by
2018. 12. 31. 01:39 경제\금융/투자 정보

은 투자 방법, 다가오는 금융위기 준비하기


은을 구매하는 경로는 금과 거의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구매하는 경로에 관해서는 

현물금과 종이금에 대한 내용인 이전 포스팅 

[금 투자 방법, 다가오는 금융위기 준비하기]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오늘 알아볼 것은 금 투자가 아닌 

은 투자는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입니다. 


은도 금과 같이 실물자산을 가진 안전자산입니다. 

하지만, 금보다는 절대적 가치가 덜하고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의 사항을 참고하여 은투자를 

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금과 은은 투자자산의 보험적 성격을 

가진 안전자산입니다. 하락장과 금융위기에 

헷지(hedge)전략에 적합한 자산으로 투자에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1. 전체 투자금액 정하기(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아라.'라는

격언처럼 상관관계가 적은 투자자산들에 분산투자하여

위험을 낮추는 자산 구성 전략을 말합니다. 


그리고 포트폴리오에 구성되는 자산 중 안전자산의 

개념으로 금과 은이 포함됩니다. 


중앙일보에서 대형 금융사 PB 연구 센터장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보면 부자들의 포트폴리오 구성 중 

10% 내외를 금으로 구성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경제 비관론자 마크파버는 자산 중

25%를 금으로 구성하라고 했습니다. 


즉, 여기서 금이라고 했지만 안전자산의 비중을 

10% ~ 25% 수준으로 구성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안전자산의 성격상 변동성이 낮습니다. 

그래서 투자금이 클수록 금과 은의 비중을 높이어 

위험을 줄이는 선택을 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금이 1억인 사람은 15% 수준인

1,500만 원으로 금과 은을 구매한다고 하면

투자금이 2억인 사람은 그보다 높은 수준인 

20%인 4,000만 원을 금과 은으로 구매하여 

헷지(hedge)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겁니다.  


또한,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비중이 달라집니다. 

자신이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금과 은의 비중이 낮아지고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금과 은의 비중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아무리 공격적이라고 해도 최소한의 헷지를 위해 

10% 비중의 금과 은을 보유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2. 금은비 확인하기 



위에 보이시는 차트는 금은비입니다. 

2018년 12월 말 기준 금은비가 83.43입니다. 

이것은 은 83.43온스를 주면 금 1온스를 

구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2003년과 2008년 금융위기 때 

금은비가 80을 넘어섰었는데, 이 지점을 고점으로 보고 

은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금은비의 특성상 금융위기가 지날 때쯤 대폭 

하락하는 주기를 갖고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게 금은비가 45수준을 하회한다면 고평가되는 

구간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시기적으로 금보다는 은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한 구간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새로운 금은비 고점을 만드는 구간으로, 

절대 일시적인 몰빵투자는 하지 않고 

적어도 30/30/40의 비중으로 하는 분산투자를 하여

장기전에 대비하셔야 할 때입니다. 

왜냐하면 아직 금은비의 새로운 고점이 갱신되어

어디가 고점인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3. 은 투자 비율 정하기 



그렇다면 은 투자 비율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우선 전체 자산 중 안전자산의 비중을 정해봅시다. 


개인적으로 공격과 보수적 투자자의 중간적 성격을 

가졌을 때, 1억을 기준으로 15%를 안전자산에 

배분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전문 금융투자자들의 자산 구성방법을 기준으로 

설정한 기준으로 1억이 넘어가면 15% 이상을 

1억보다 적을 시 10%를 하한선으로 금과 은을 

구매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 1,500만 원을 기준으로 금0 : 은10의 투자방법은 

투자수익률 증대에 도움을 줍니다. 

이는 금와 은의 변동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현재 고평가된 은과 앞으로 다가올 금융위기의 

은값상승비율을 고려하면 지금의 은 구매는 

금의 레버리지 성격을 가진 실물 자산이됩니다. 

즉, 예상대로 금융시장이 전개될 시 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 


다만, 1,500만 원을 상한으로 한 것은 변동성에 의해 

금보다는 은이 위험자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1억 기준 15%인 1,500만 원을 상한으로 두고 

그 이후부터는 금과 은의 7:3비율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공격적 투자자의 경우 금 0원 은 1,500만 원에서

투자금이 생길 때마다 금 3,500만 원 은 1,500만 원이 

될 때까지 금을 구매하고 이후부터 7:3의 비율로 

자산을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자산이 커질수록 변동성을 줄여 리스크를 낮춰야 해서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